vi 또는 vim을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에러 "E576: viminfo: 줄에 '>'이 없습니다:", "E576: viminfo: Missing '>' in line:" 라는 문구가 vi를 통해 어떤 파일을 열고 닫을때 항상 나오게 되는 에러를 접한적이 있다. 켜고 닫을때 "계속하려면 엔터 혹은 명령을 입력하십시오"라는 문구가 제일 하단에 뜨면서 vi 작업시 귀찮게 하고 있었다. 해결 방법은 ~/.viminfo 파일을 삭제 하고, vim&vi를 재시작 하면 viminfo는 알아서 재생성되고 정상화가 된다.
테이블 스페이스 생성 : ex) CREATE TABLESPACE PFM4C DATAFILE '/home/oracle/db/oradata/orcl/pfm4c.dbf' SIZE 2048M AUTOEXTEND ON NEXT 4M MAXSIZE UNLIMITED LOGGING PERMANENT EXTENT MANAGEMENT LOCAL AUTOALLOCATE BLOCKSIZE 8K SEGMENT SPACE MANAGEMENT MANUAL FLASHBACK ON; size 옵션 - 초기 데이터파일 크기 설정. autoextend 옵션 - 초기 크기 공간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파일의 크기가 커지는 기능을 활성화(on) / 비활성화(off , default) 설정한다. next - 데이터파일이 증가하는 단위..
SiteConfig.xml을 읽는 방식 통합서버 login.jsp(로그인창)에서 관리자 -> 관리자 시스템 -> 유저롤관리에서 롤 ID중 , 'SITECONFIG_ADMIN'이 있다. 해당 유저ID에 'SITECONFIG_ADMIN' 롤ID 권한을 부여 받게 되면 SiteConfig의 설정 내용을 로컬에서 읽고 올라간다. 로컬의 위치는 스튜디오가 담긴 폴더 -> workspace에 SiteConfig.xml에 위치한다. 'SITECONFIG_ADMIN'의 롤ID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계정의 SiteConfig는 통합서버 아래 lib에 있는 SiteConfig.xml을 읽고 기동한다.
Synonym - 데이터베이스 객체는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 해당 객체에게 가명을 주는것 (일종의 alias와 비슷하다) - 보안에 용이하다 (다른 유저의 객체를 사용할때 그 이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문법 CREATE OR REPLACE [PUBLIC / PRIVATE] SYNOYM [사노님명] FOR [객체명] 해당 객체에게 시노님명을 지어주는 쿼리문이다. 예를들어 객체 이름이 EMP라고 하고 , SYNONYM명을 SYNO_EMP 라고 하였을때 Synonym명인 SYNO_EMP라는 명으로 해당 객체명인 EMP 테이블을 조회할수가 있는 것이다. Synonym 응용 현재 계정의 시노님 조회 - SELECT * FROM USER_SYNONYMS 전체 시노님 조회 쿼리 - SELECT * FR..
ldd - 리눅스 명령어 - 지정한 프로그램 또는 파일의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살펴볼때 사용하는 명령어 경로 ---> usr/bin/ldd 사용법 ldd [옵션] 파일명 -d --data-relocs 존재해야 할 곳에 없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다시 배치하고, 그 결과를 출력 -r --function-relocs 데이터 오브젝트와 함수를 재배치하고 오브젝트나 함수 중에 찾지 못한 결과를 출력 -v --verbose 상세 정보를 출력 --help ldd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ldd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 ldd 명령어가 필요한 이유 어제 같은 서버내에 같은 소스를 돌려보는데 용량이 다른 바이너리가 생성 되었다. db환경 말고는 다른것이 전혀 없었다. 또한 하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면 하..
아래와 같이 본인이 일했던 시간을 엑셀에 기록해 두었는데 총 시간을 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그냥 SUM() 함수를 사용해서 구하게 되면 정확한 값을 구할 수가 없다. SUM()함수를 그대로 쓰게 된다면 결과는 아래와 같게 나온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문제는 셀 서식 때문이다. 엑셀 오른쪽 상단에 서식탭에서 아래와 같이 셀 서식을 클릭! 사용자 지정에서 "총시간"은 아래와 같은 서식을 택해준다. 사용자 지정에서 "합계"은 아래와 같은 서식을 택해준다. 일했던 하루의 총시간들을 더한 결과가 합계란에서 알맞게 뜨는 모습을 볼수가 있다.
형상관리는 많은 개발자와 함께 방대한 양들의 소스를 관리 할때 매우 용이하다. 대표적인 형상관리 도구로써 git과 svn등이 있다. 프레임워크 관점에서 형상관리는 뗄수 없다. 실제 기업에서 많은 개발자들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발한 산출물들을 관리 하기 위해선 필수이기 때문이다. 형상관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리소스의 변경 이력을 관리 할수 있다. --> 프로그램 장애시 소스 변경 이력을 토대로 버그를 잡기 쉽다. - 배포 또는 이관시 용이하다. - 많은 개발자들이 소스코드를 공유해 개발할수 있고, 명명 규칙 이후에 붙여지는 숫자등의 중복 문제를 방지 할수가 있다. 오늘 proframe의 형상관리 툴인 ServerCmd를 공부하게 되었다. ServerCmd의 다양한 옵션들을 알게 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