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Kernel (커널)
- 하드웨어와 어플 사이에 마치 풀과 같은 존재이다.
kernel : Glue between hardware and applications
추상화라는 개념을 통해 사용자가 file에 엑세스해 disk에 접근할수있다.
Boot loader (부트로더)
- 파워버튼을 눌렀을때 동작할수 있도록 준비시켜주는 것.
PC같은 경우에는 GRUB을 많이 사용한다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은 경우는 u - boot를 많이사용한다.
Distribution (배포판)
각기 다른방식으로 다양한 환경에 맞춰서 포장할수 있다.
Service(서비스)
-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지만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
- 초기에 init 프로세스가 동작
Filesystem (파일 시스템)
-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상화 한다.
Filesystem : Method for storing and organizing files example. ext3 ,ext4 ,FAT ,XFS ,NTFS and Btrfs
파일 시스템의 구조
각각의 폴더가 용도에 맞게 만들어져 있다.
가장 대표적인것이 /root 아래에 있는 user 디렉토리이다. (= window의 program files와 같다)
bin = binary의 약자이다.
/boot : 부팅에 관련된 파일들이 모여있다.
/etc : 시스템 설정에 관한 대부분의 파일들이 저장
/home : 각각의 사용자를 위한 디렉토리이다.
/lib : 시스템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라이브러리들이 저장
/media : sd카드나 usb 저장장치를 꼽았을때 나타나는 폴더
X windows systems (엑스 윈도우)
- Graphical subsystem on nearly all Linux systems
- GUI 를 제공해준다 .
Desktop Environment (데스크탑 환경)
- Ubuntu = Gnome이라는 환경
- CentOS = KDE라는 환경
여러가지 배포판마다 다른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IT > Embedded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베디드 SW 공학] 쉘(Shell) 기본 문법 (0) | 2017.09.08 |
---|---|
[임베디드 SW 공학] Bash 소개 (2) | 2017.09.08 |
[임베디드 SW 공학] 리눅스 부트과정 (0) | 2017.09.04 |
[임베디드 SW 공학] 리눅스 소개 (0) | 2017.09.04 |
[임베디드 SW 공학] 소개 (0) | 2017.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