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bD26/btrmgkdlRUt/w7WmW3kBmdKfreCij7ns5K/img.jpg)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인 재귀 함수를 코딩 문제를 풀다가 접하게 되었다. 학부생 시절에 배웠던 기억이 난다. 바이너리 트리가 담고 있는 데이터들을 전부 출력 해주는 부분이었다. 이진트리 데이터들을 출력해주는 print_tree()라는 어떠한 함수를 만들었으면 root노드의 정보를 파라미터로 받아 root노드의 기점으로 왼쪽부터 이후, 오른쪽 노드들의 데이터를 출력해주는 구조로 기억한다. 위 사진대로라면 root 노드인 'A' 노드를 파라미터로 아래와 같이 함수를 호출한다. print_tree('A'); 이후, A노드를 기점으로 왼쪽 노드인 'B'노드를 파라미터로 또 해당함수를 아래와 같이 호출한다. print_tree('B'); 또 B노드를 기점으로 'D' 노드를 호출한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D노드는..
IT/etc
2021. 11. 26. 22:52